우리나라를 금수강산이라고 하는 것은 가을 산의 아름다움을 두고 한 말입니다. 단풍이 절정인 가을 산은 등산을 더욱 즐겁게 합니다.
하지만 가을 등산을 안전하게 즐기려면 이며 겨울이라 생각하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기온감률, 바람에 의한 체감온도 저하, 평지의 기상 예보보다 심각한 산악
높은 산은 평지보다 더 춥고 기상변화가 심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이는 기온감률과 바람에 의한 체감온도 저하 때문입니다. 기온감률은 고도 상승에 따른 온도의 변화율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 높이 올라갈수록 따뜻한 지표로부터 멀어지며 기온이 내려가는 현상으로 맑은 날에 100m 고도가 높아질 때마다 1.0℃씩 온도가 낮아지고, 흐린 날에는 0.5℃씩 낮아지게 됩니다. 바람에 의한 체감온도 저하는 바람이 불 때 우리 몸에서 온기를 뺏어가 체온이 저하되는 것으로 초속 1m의 속도가 불 때 체감온도는 약 1.6℃씩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기온 차이로 인해 가을철 조난 사망 사례는 저체온증이 가장 많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산에서 못 내려오고 추위에 떨다가 목숨을 잃은 것입니다. 조난자들도 가을 산의 추위에 대비해 어느 정도 옷을 준비했을 것이지만, 산에서 그 예상을 넘는 혹독한 상황이 벌어
이미 겨울이 시작된 가을 등산에서 꼭 갖추어야
1. 등산복
- 첫 번째 레이어 : 시원한 가을이라도 열심히 올라갈 때는 여름처럼 덥습니다. 땀을 잘 흡수하고 잘 마르는 소재의
속옷과 함께 반팔이나 얇은 긴팔 셔츠를 입습 니다. - 두 번째 레이어 : 보온 기능을 하는 옷입니다. 기모가 있고, 신축성이
있는 플리스 소재가 좋습니다. 양털처럼 너무 과다한 기모는 활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좋지 않습니다. 이미 겨울인 가을 산에서는 보온 옷을 2개 이상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 추가의 보온 옷은 오리털 패딩이 좋습니다. 패딩은 너무 두툼하거나 부피가 크면 안됩니다. 세 번째 레이어인방수, 방풍, 투습 자켓 안에 입어야 하기때문에 복원력이 우수한 오리털이나 거위털 패딩이 좋습니다. . - 세 번째 레이어 : 비, 바람, 눈을 차단하여 신체를 보호해 주는 옷으로
방수 또는 바람막이 자켓 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세 번째 레이어는 보온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두껍거나 무거울 필요가 없습니다. 홑겹의 원단으로 가볍고 심플한 디자인이 휴대할 때 부피와 무게를 적게 합니다. 고어텍스와 같이 방수. 방풍. 투습 기능을 동시에 갖춘원단으로 만든 소재의 자켓이 좋습니다.
(사진출처= one.gore-tex)
- 보온장갑 : 신축성이 좋은 플리스 소재의 장갑이 좋습니다. 보온이 필요할 때만 착용하고, 평상시에는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출처= one.gore-tex)
- 머리보온 : 신체
중 가장 많은 열손실이 발생하는 곳이 머리 입니다. 머리를 보온하는 장비는 바라클라바가 가장 우수합니다. 바라클라바는 크림반도 바라클라바 지방 사람들이 습한 흑해연안의 추위를 이기기 위해 눈만 나오도록 복면처럼 뒤집어쓰는 양털 모자를 사용하는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요즈음은 신축성이 좋은 플리스 소재의 바라클라바가 착용감이 좋습니다. 예상치 못한 추위를 만났을 때, 바라클라바는 두툼한 옷보다 더 체온유지에 효과적이고, 대용으로 버프라고도 불리는 멀티스카프도 효과적입니다.
(사진출처=shutterstock)
2. 등산화
산의 높이와 지형적 특징, 코스의 길이, 난이도 등을
(사진출처= one.gore-tex)
3. 배낭
충분한 식량, 보온옷, 장비들을 휴대하기 적당한